반응형
let x = "John";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권장된다. 두 선언의 차이를 살펴보면:
1. let x = "John";은 기본 문자열 값을 가진다. 이 방식은 단순히 문자열 리터럴로 처리되고, 메모리 효율성과 성능 면에서 더 유리하다. 대부분의 상황에서 문자열을 다룰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2. let x = new String("John");은 String 객체를 생성하는 코드다. 이 방식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되지 않는다. 객체 생성이므로 메모리 사용이 더 크고,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비교 연산에서 문자열 리터럴과 객체가 다른 방식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결론
기본 문자열 선언인 let x = "John";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권장된다. new String()을 사용해야 하는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문자열을 다룰 때는 리터럴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반응형
'BACKEND [Kamranahmedse Roadmap]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호이스팅(Hoisting)이란? (0) | 2025.02.15 |
---|---|
[JS] 함수 선언문 vs 함수 표현식 (0) | 2025.02.14 |
[JS] 반복문 비교: forEach, for in, for of 차이점 완벽 정리 (0) | 2025.02.14 |
[JS] toString.call() 완전 정리 (0) | 2025.02.12 |
[JS] JavaScript의 동적 타입(Dynamic Typing) 완전 정리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