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동 실행 방식
✅ 설명
• MySQL이 launchd 서비스가 아닌 수동 프로세스로 실행됨.
• /usr/local/bin/mysql.server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MySQL을 직접 시작하는 방식.
✅ 특징
• 자동 실행 X: macOS를 재부팅하면 MySQL이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음.
• 특정 MySQL 인스턴스를 직접 제어: MySQL이 여러 개 설치되어 있거나 Homebrew가 아닌 다른 방식(예: 직접 다운로드)으로 설치한 경우에도 사용 가능.
• 권한 문제 발생 가능: 시스템 환경에 따라 sudo mysql.server start가 필요할 수도 있음.
✅ 사용법
mysql.server start # MySQL 시작
mysql.server stop # MySQL 중지
mysql.server restart # MySQL 재시작
2. Homebrew 서비스 방식 (데몬으로 실행시키기)
데몬(Daemon)이란 무엇인가
데몬(Daemon)은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지 않고, 시스템의 중요한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데
jyhan0625.tistory.com
✅ 설명
• Homebrew에서 MySQL을 macOS의 서비스(launchd) 로 등록하고 실행하는 명령어.
• restart는 MySQL을 다시 시작하는 명령어이므로 start와 stop도 사용할 수 있음.
✅ 특징
• 자동 실행: macOS를 재부팅해도 MySQL이 자동으로 시작됨.
• 서비스 관리 편리: brew services list로 실행 중인 서비스를 쉽게 확인 가능.
• Homebrew로 설치된 MySQL에만 해당: Homebrew를 통해 설치한 MySQL을 실행하는 방식.
✅ 사용법
brew services start mysql # MySQL 시작
brew services stop mysql # MySQL 중지
brew services restart mysql # MySQL 재시작
brew services list # 실행 중인 서비스 확인
주요 차이점 정리
brew services restart mysql (데몬 실행 방식) | mysql.server start (수동 실행 방식) | |
실행 방식 | macOS의 서비스(launchd) 로 실행 | 직접 MySQL 프로세스를 실행 |
재부팅 후 자동 실행 | ✅ 가능 | ❌ 불가능 |
실행 대상 | Homebrew로 설치된 MySQL | 수동으로 실행하는 MySQL |
실행 확인 | brew services list | `ps aux |
권한 문제 | 일반적으로 필요 없음 | 경우에 따라 sudo 필요 |
어떤 걸 써야 할까?
• Homebrew로 설치했고, macOS가 켜질 때마다 자동으로 MySQL을 실행하고 싶다면 → brew services start mysql
• 한 번만 실행해서 테스트하고 싶다면 → mysql.server start
• MySQL이 여러 개 설치되어 있고 특정 버전을 실행하고 싶다면 → mysql.server start (설치된 경로 확인 필요)
즉, 개발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MySQL을 실행해야 한다면 brew services를 추천하고, 단발성으로 실행하려면 mysql.server를 사용하면 된다.
'BACKEND [Kamranahmedse Roadmap]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JDBC를 통해 데이터 입력, 삭제, 조회하기 (0) | 2025.03.24 |
---|---|
JDBC란 무엇인가? (0) | 2025.03.19 |
[MySQL] DML 총정리 (0) | 2025.03.17 |
[MySQL] DDL 총정리 (0) | 2025.03.17 |
[MySQL] DCL 총정리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