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tructure - Algorithm/Baekjoon

[백준 #1436] 영화감독 숌

Alex Han 2025. 2. 28. 18:56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1436

 

문제

666은 종말을 나타내는 수라고 한다. 따라서, 많은 블록버스터 영화에서는 666이 들어간 제목을 많이 사용한다. 영화감독 숌은 세상의 종말 이라는 시리즈 영화의 감독이다. 조지 루카스는 스타워즈를 만들 때, 스타워즈 1, 스타워즈 2, 스타워즈 3, 스타워즈 4, 스타워즈 5, 스타워즈 6과 같이 이름을 지었고, 피터 잭슨은 반지의 제왕을 만들 때, 반지의 제왕 1, 반지의 제왕 2, 반지의 제왕 3과 같이 영화 제목을 지었다. 하지만 숌은 자신이 조지 루카스와 피터 잭슨을 뛰어넘는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영화 제목을 좀 다르게 만들기로 했다.

종말의 수란 어떤 수에 6이 적어도 3개 이상 연속으로 들어가는 수를 말한다. 제일 작은 종말의 수는 666이고, 그 다음으로 큰 수는 1666, 2666, 3666, .... 이다. 따라서, 숌은 첫 번째 영화의 제목은 "세상의 종말 666", 두 번째 영화의 제목은 "세상의 종말 1666"와 같이 이름을 지을 것이다. 일반화해서 생각하면, N번째 영화의 제목은 세상의 종말 (N번째로 작은 종말의 수) 와 같다.

숌이 만든 N번째 영화의 제목에 들어간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숌은 이 시리즈를 항상 차례대로 만들고, 다른 영화는 만들지 않는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N번째 영화의 제목에 들어간 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출력
1 2 1666
2 3 2666
3 6 5666
4 187 66666
5 500 166699

 

 

해결 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anner.nextInt();
		
		int count = 0;
		int num = 0;
		while(count != n) {
			num++;
			if(String.valueOf(num).contains("666")) count++;
		}
		
		System.out.println(num);
		
	}
}

 

단순히 완전탐색으로만 생각했으면 됐다. 

 

내가 시도했던 방식은 앞과 뒤의 추가되는 수를 적절히 잘 추가하여 666이 들어간 다음 최솟값을 찾으려 했다. 진수 넘어가는 개념과 유사하게 처리해보려고 했지만 쉽게 되지 않았다. 풀던 도중에 완전탐색으로 처리해볼 생각은 했지만 시간초과가 뜰거라 생각하고 바로 포기했었다. 그런데 사실 알고리즘 문제 풀때 가장 쉬운 구현 정도는 먼저 시도해도 손해는 없는데... 처음부터 내 방식이 무조건 맞을 거라고 생각하고 고집부린게 패착인거 같다 ㅎㅎ..

 

(아래는 잘못된 코드입니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Baekjoon1436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anner.nextInt();
		
		int pre = 0;
		int post = 0;
		int std = 666;
		int current = 666;
			
			for(int i=0; i<n; i++) {
				
				int preTemp = Integer.valueOf(String.valueOf(pre) + std);
				int postTemp = Integer.valueOf(std + String.valueOf(post));
				
				if(preTemp > postTemp) {
					current = postTemp;
					post++;

				}
				else {
					current = preTemp;
					pre++;

					
				}
				
				System.out.println("\t" + current);
			}
			
			System.out.println(current);	

	}
	
}

/*

queue

666은 기본 셋 / 앞에 추가하냐 vs 뒤에 추가하냐

앞 , 뒤 둘다 데려감
둘다 각각 추가해본 뒤 작은 거로 데려감.
채택 된 경우에는 해당 자리에 1 추가

666
0666 vs 6660


*/
반응형

'Data Structure - Algorithm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7568] 덩치  (0) 2025.03.02
[백준 #1149] RGB거리  (0) 2025.03.02
[백준 #1018] 체스판 다시 칠하기  (0) 2025.02.27
[백준 #1427] 소트인사이드  (0) 2025.02.25
[백준 #10773] 제로  (0) 2025.02.25